본문 바로가기

은퇴,노후대비,생활

[은퇴준비]베이비붐 세대, 은퇴 후 대책 마련 시급


들어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된 베이비붐 세대가 가치관과 현실 간 괴리로 노후생활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최근 조사결과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 가운데 노부모 부양 책임이 자신을 비롯한 가족에게 있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69%에 달했지만, 본인 노후 생활비를 자녀에게 의존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3%로 나타났다.

미래에셋퇴직연금 강창희 소장은 “60세에 은퇴해 80세까지만 산다고 가정할 때 월 200만 원의 생활비를 쓰려면 4억 원 이상 필요하지만, 현재 베이비붐 세대는 노후 자금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우려했다.

자녀 도움 없이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보험이나 연금을 통한 수입 확보가 중요하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 이소정 부연구의원은 “베이비붐 세대의 51%가 노후에 대해 걱정하고 있고 노후 생활에 대해 기대하는 비율은 15.1%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그는 베이비붐 세대의 가장 큰 노후 걱정으로는 “건강 39.8%, 생활비용 34.3%, 치매 및 중풍 10.1% 순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지난해 대통령 소속 베이비붐 세대 고용대책위원회를 발족해 지난 1월부터 ‘베이비붐 세대 미래구상포럼’이란 주제로 현황 진단과 대책 마련에 나섰다.

또한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중소기업청 등 각 지자체도 노령화 대책의 일환으로 노인들의 취업과 창업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공공근로 등 생계형 단순 업무 연결에 집중하고 있을 뿐 베이비부머 은퇴자들에 특화된 서비스 개발은 이제야 첫발을 내딛는 수준이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노인 일자리 정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사각지대에 있는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시급히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 소속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노사정위)도 베이비붐 사태를 대비해 지난 7일 상무위원회(차관급)를 열고 근로자 정년을 60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놓고 막판 절충을 벌였지만 끝내 무산됐다.

노사정위 관계자는 “‘법제화를 해야 한다’는 노동계와 ‘정년을 일률적으로 법으로 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경영계가 이견을 좁히지 못해 결국 최종 합의에 실패했다”고 전했다.

대신 노사정위는 ‘중고령층과 청년층 세대 간에 상생형 일자리 창출과 중고령 인력의 점진적 고용 연장을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은 합의문을채택했다.

한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용하 원장은 “우리나라는 전통적 노후 대책인 자녀가 부모를 부양하는 체계가 베이비붐 세대부터 완전히 무너진 것이 확실한 만큼 베이비부머에 대한 경제적 자원 배분과 공적노후 보장시스템을 정부에서 잘 조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