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울한 사람이 줄어드는 사회를 기도하며
괴물, 왕의 남자, 태극기 휘날리며, 해운대, 실미도∙∙∙.
눈치 빠르신 분들은 우리나라 영화의 역대 흥행 순위라는 것을 금세 아실 겁니다. 모두 관객 1000만 명이 넘은 영화들입니다.
그런데 이 영화들에게는 묘한 공통점이 있습니다. 뭘까요? 동아일보 이승재 기자가 얼마 전 코메디닷컴 임직원 특강에서 던진 첫 질문입니다.
이 기자의 대답. “모두 억울한 사람들이 떼를 지어 등장하는 영화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은 자신을 억울하다고 생각하고, 억울한 사람들에게 동화한다는 설명이었습니다.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고개를 들어 돌아보면 많은 사람이 힘든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정말 억울한 사람이 늘고 있고 견딜만한 사람들도 억울해 하고 있습니다. 폭등하는 전세와 물가에다 월급봉투를 처참하게 만든 느닷없는 건강보험료 인상과 같은 서민 힘빠지게 만드는 갖가지 정부 정책∙∙∙. 이러다간 사회가 무너지지 않을까 걱정일 정도입니다.
이런 분위기가 4.27 재보선의 표심으로 나타난 것이 아닐까요? ‘천당 아래 분당’이라는 곳에서조차도 “이대로는 안 된다”는 민심이 나타났습니다.
저는 언젠가 누군가에게 “이기적인 보수와 무책임한 진보, 모두 문제”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요즘 들어 ‘이기적인 보수’가 숫자는 적어지면서 목소리는 더 오만해진 듯합니다. 국부(國富)가 한쪽으로 편중되면서 혜택을 받은 소수가 주위의 고마움을 모르는 듯합니다. 무지한 부자라고나 할까요?
오늘은 어찌 보면 참 억울한 삶을 살았지만, 결코 억울하지 않았던 충무공의 탄신일입니다. 이순신의 죽음에 대해서는 논란이 분분합니다만, 어제 중앙일보에 나온 역사학자 이덕일 씨의 분석이 가슴에 와 닿습니다.
그의 칼럼에 따르면 이순신은 노량해전에서 죽음을 자처했을 가능성이 큰데, 이는 자신을 천거한 서애 류성룡을 보호하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서애는 전시에 천민도 양반이 될 수 있게 한 ‘면천법’, 양반도 군역의무를 지운 ‘속오군’, 부자가 세금을 더 많이 내게 한 ‘작미법’ 등을 실시해서 억울한 사람을 줄이는 방법으로 나라를 구했습니다. 이순신이 전사한 날, 공교롭게도 류성룡도 파직당합니다.
충무공과 서애 같은 분이 필요한 때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무지하고 오만한 헛똑똑이 부자가 아니라 백성의 억울함을 살피는 지성인이 존경 받는 사회, 서민들은 억울함보다 감사함을 더 느끼는 사회, 값싼 승리보다는 더불어 사는 행복감이 존중 받는 사회, 이번 선거가 이런 사회로 나아가는 입구가 되기를 간절히 빕니다. 우리 모두가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고 제대로 살기 위해서, 간절히!
괴물, 왕의 남자, 태극기 휘날리며, 해운대, 실미도∙∙∙.
눈치 빠르신 분들은 우리나라 영화의 역대 흥행 순위라는 것을 금세 아실 겁니다. 모두 관객 1000만 명이 넘은 영화들입니다.
그런데 이 영화들에게는 묘한 공통점이 있습니다. 뭘까요? 동아일보 이승재 기자가 얼마 전 코메디닷컴 임직원 특강에서 던진 첫 질문입니다.
이 기자의 대답. “모두 억울한 사람들이 떼를 지어 등장하는 영화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은 자신을 억울하다고 생각하고, 억울한 사람들에게 동화한다는 설명이었습니다.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고개를 들어 돌아보면 많은 사람이 힘든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정말 억울한 사람이 늘고 있고 견딜만한 사람들도 억울해 하고 있습니다. 폭등하는 전세와 물가에다 월급봉투를 처참하게 만든 느닷없는 건강보험료 인상과 같은 서민 힘빠지게 만드는 갖가지 정부 정책∙∙∙. 이러다간 사회가 무너지지 않을까 걱정일 정도입니다.
이런 분위기가 4.27 재보선의 표심으로 나타난 것이 아닐까요? ‘천당 아래 분당’이라는 곳에서조차도 “이대로는 안 된다”는 민심이 나타났습니다.
저는 언젠가 누군가에게 “이기적인 보수와 무책임한 진보, 모두 문제”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요즘 들어 ‘이기적인 보수’가 숫자는 적어지면서 목소리는 더 오만해진 듯합니다. 국부(國富)가 한쪽으로 편중되면서 혜택을 받은 소수가 주위의 고마움을 모르는 듯합니다. 무지한 부자라고나 할까요?
오늘은 어찌 보면 참 억울한 삶을 살았지만, 결코 억울하지 않았던 충무공의 탄신일입니다. 이순신의 죽음에 대해서는 논란이 분분합니다만, 어제 중앙일보에 나온 역사학자 이덕일 씨의 분석이 가슴에 와 닿습니다.
그의 칼럼에 따르면 이순신은 노량해전에서 죽음을 자처했을 가능성이 큰데, 이는 자신을 천거한 서애 류성룡을 보호하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서애는 전시에 천민도 양반이 될 수 있게 한 ‘면천법’, 양반도 군역의무를 지운 ‘속오군’, 부자가 세금을 더 많이 내게 한 ‘작미법’ 등을 실시해서 억울한 사람을 줄이는 방법으로 나라를 구했습니다. 이순신이 전사한 날, 공교롭게도 류성룡도 파직당합니다.
충무공과 서애 같은 분이 필요한 때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무지하고 오만한 헛똑똑이 부자가 아니라 백성의 억울함을 살피는 지성인이 존경 받는 사회, 서민들은 억울함보다 감사함을 더 느끼는 사회, 값싼 승리보다는 더불어 사는 행복감이 존중 받는 사회, 이번 선거가 이런 사회로 나아가는 입구가 되기를 간절히 빕니다. 우리 모두가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고 제대로 살기 위해서, 간절히!
![]() |
|
'와글시끌 세상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지혜[정보제공]■잉카제국의살리나스염전 (0) | 2011.06.04 |
---|---|
이혼 시 재산분할과 위자료에 대한 과세 (0) | 2011.04.24 |
[원룸임대사업투자]인생에서 가장 불행한 나이는 몇 살? (0) | 2011.04.23 |